Page 9 - 인문대학
P. 9
문헌정보학과는 여러 가지 다양한 정보 소스를 형태와 내용 면에서 파악하여 이를 효율적으로 획득하기 위한
연구영역에서부터 정보 이용에 이르는 전 과정을 다룹니다. 도서와 학술지는 물론 마이크로 형태 자료, 시청각
자료, 고전 자료, 전자매체 자료 등 모든 정보의 선정에서부터 처리, 축적, 검색 이용 등 전 과정을 연구하게
됩니다. 학문의 연구영역을 세부적으로 전개하면, 자료의 축적과 검색을 효율화하기 위한 자료조직 영역과
졸업 후 선택하게 되는 도서관의 관종에 따른 전문 도서관, 대학 도서관, 공공 도서관의 특성과 운영을 다루는
관종별 도서관 경영 영역, 도서관 업무의 효율성을 학습하는 정보화 영역 등으로 나눠집니다.
문헌정보학의 전공 기초 교육을 위하여 각종 정보의 과학적 수집, 정리 및 체계적 분석과
문헌정보학
의 이해 저장을 통하여 이용자의 정보 요구에 대처할 수 있도록 정보 전문가의 역할과 기능을 중심으로
문헌정보학의 원론적 기초개념과 이론을 교습한다.
자료 분류의 원리와 각종 분류법의 구조 및 역사의 이해, 한국 십진분류법(KDC)과 듀이
자료 분류론 십진분류법(DDC) 등의 중요 분류법에 대한 교습 및 실습을 통한 도서관 정보자료를
체계적으로 분류할 수 있는 능력의 함양을 주요 내용으로 학습한다.
자료조직 자료조직 이론을 현장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중심으로 논하고, 실제
실습 정보자료 입력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목록화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데이터베이스 및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개념은 물론, 데이터 모델과 연산, 대표적인
데이터
베이스원리 데이터베이스 언어인 SQL(Structured Query Language)을 습득한다. 더불어 관계
데이터 모델을 기반으로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할 때 필요한 기반 이론을 학습한다.
기록 관리의 필요성, 기록의 개념과 가치, 기록 관리의 역사. 기록의 조직, 국가별 기록 관리
제도의 특징, 기록의 가치 평가, 기록 관리 국제표준, 기록 관리 관련 법령, 전자기록 관리,
기록 관리론
기록물 보존 등의 교수를 통한 기록과 기록 관리 전반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중심으로
학습한다.
본 교과는 정보서비스의 이론과 방법론에 대한 이해를 높임으로써 전통적인 도서관 환경 및
정보
서비스론 디지털 환경에서 효과적인 정보서비스를 계획하고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020 2021 2022
64.5% 45.8% 53.3%
- 실제 교직 이수를 통해 진출하는 것이 전공생의 목표인 경우가 많습니다.
선배들의 - 이외 문헌정보학을 전공한 선배들은 리서치 통계 및 사서 직무에 많이 진출해 있습니다.
주요 - 기록물을 관리하는 업무가 중요한 출판사, 교육기관 도서관, 대형 서점 등으로 진출하거나
진출직무
공기업 내에서는 기록물관리사로서의 무기계약직 등의 채용도 있습니다. 채용의 규모가
크지 않기에 준비했던 내용을 기반으로 일반행정이나 사무직 분야로의 진출도 용이합니다.
- 교직 이수를 통해 교육기관 내 사서교사로서의 자격을 부여받는 경우가 많고, 대학원 진학을
보유 통해 특정 분야의 기록물을 관리하는 자격을 취득하기도 합니다.
스펙 - 서류나 행정을 통해 기록물을 관리하는 만큼 OA(사무 프로그램 활용)역량을 증명할 수 있는
자격증 취득이나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관련 자격증 취득으로 전문역량을 준비하는 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