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47 - 경기대학교 진로취업가이드북
P. 147
SW안전보안학과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이끄는 핵심 기술을 선도한다. SW안전보안학과의 핵심 목표는
SW안전 및 보안 전문인력 양성으로 산학연 연계를 통한 수준 높은 SW안전 및 보안 전문가를 배출하는 것
이다. SW안전보안학과에서 개설하고 있는 연구 분야로는 SW안전관리, SW윤리, SW안전메커니즘,
SW위험분석, SW안전대책평가, 웹서비스/네트워크/커널시스템보안 및 SW안전관련 국제규격 등의
SW안전보안 분야이다.
시큐어코딩 소프트웨어의 취약점의 원인을 설명하고 안전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위한 코딩 방식 습득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가 발주자의 의도대로 개발되었는지를 확인하는 테스팅에 이르기까지 체계적인
안전공학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 소개
소프트웨어
안전보안개론 소프트웨어 보안과 안전의 기본 개념과 관련 분야에 대해 소개
네트워크 가상화 기반의 안전한 네트워크 환경 구축에 대해 실습하고,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네트워크
안전보안
보안 기술 소개
소프트웨어 고품질의 소프트웨어를 얻기 위하여 산업계에서 널리 사용되는 테스팅을 공부
테스팅
시스템 기계학습에 대한 기초 지식 소개, 기계학습 개념, 베이시언 분류, 확률분포 추정, 인공신경망 등
소프트웨어
보안 기술에 대하여 다룸
소프트웨어
안전개발 소프트웨어의 위험원 분석 및 평가를 수행
프로세스
소프트웨어
안전국제규격 소프트웨어 안전성과 관련된 국제 규격을 공부(IEC 61508, ISO 25252 중점)
2020 2021 2022
신설 전공 신설 전공 신설 전공
- 1순위: 컴퓨터시스템 전문가
선배들의
주요 - 2순위: 정보보안 전문가
진출직무
- 3순위: 소프트웨어 개발자
- 회사와 기관에서 많이 요구하는 정보처리기사가 졸업요건이기에 기본적으로 갖추고 있는
경우가 많았으며 이외 진출 분야에 따라 OCP, SQLD, CCNA, 정보보안기사 등을 취득해
보유 전문성을 강화하였습니다.
스펙
- 또한 TOEIC, TOEIC Speaking, OPIC 점수를 획득해 외국어 기본 자격 요건을 갖추거나
JPT, JLPT 점수를 취득하여 일본계 기업 또는 일본 취업을 준비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147